자동차 가격이 워낙 큰 금액이고
집다음으로 큰 재산이 라서 자동차 세금
관련 내용은 상식으로 알고 계시면 차량 선택시
도움이 됩니다.
자동차 구입, 보유시 납부하는 세금을 총정리 합니다.
차량 구입시
취득세, 개별소비세, 교육세 3가지 세금이 있습니다.
등록할때는
취득세, 공채매입비 2가지 세금을 냅니다.
*공채매입비는 세금은 아니지만, 대부분 구입후 매도하기때문에 차액을
세금이라고 포함했습니다.
차량을 보유하는중에는
자동차세와 지방교육세 2가지 세금을 매년
납부합니다.
이렇게 자동차 구입, 유지시 납부하는 세금은
총 7가지 입니다.
□ 자동차 세금 총정리
① 차량 구입시 붙는 세금 | 개별소비세 | 차량 구입시 딱 한번 납부하는 세금. 이 세금들은 차량가격에 이미 포함되어 있음 |
교육세 | ||
부가가치세 | ||
② 차량 등록시 붙는 세금 | 취득세 | 차량 등록시 딱 한번 납부하는 세금. 차량가격에 불포함 |
공채매입비(준조세) | 세금은 아니지만 차량 등록시 필수적으로 지출해야 하는 비용. 차량가격에 불포함 | |
③ 차량 보유시 붙는 세금 | 자동차세 | 차량을 보유했다면 매년 납부해야 함 |
지방교육세 | 자동차세에 포함되어 함께 부과됨 |
자동차 구입시 내는 세금 3가지, 금액계산
자동차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있는 세금은 정말 많습니다.
자동차를 구입할 때 내는 세금은
개별소비세, 교육세, 부가가치세 3가지 입니다.
□ 자동차 세금 총정리구 분세금비고
① 차량 구입시 붙는 세금 | 개별소비세 | 차량 구입시 딱 한번 납부하는 세금. 이 세금들은 차량가격에 이미 포함되어 있음 |
교육세 | ||
부가가치세 |
개별소비세는 자동차를 사치성 물품에
해당한다고 보고 소비는
자제 시키고 세수는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차량 출고가를 기준으로 5% 를 부과합니다
요즘 왠만한 SUV 차량가격은 3천만원이 넘는데요.
3천만원 차량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개별소비세는 150만원입니다.
여기에 교육세로 개별소비세 30% 가 더 부과됩니다.
이렇게 계산한 교육세는 45만원입니다.
개별소비세 교육세를 모두 더한 가격의 10% 를
간접세인 부가가치세 로 내게 됩니다.
(150+45)*10% = 19만 5천원
총 금액 : 214만 5천원
그래서 3000 만원 차량 한대를 구입할 때
자동으로 붙어서 나오는 세금만
200만원이 넘습니다.
코로나로인해 경제가 어려워짐에따라
개별소비세를 한시적으로 70%까지 인하했다가
종료 됐고,
지금은 2022년 12월 31일까지 30%를(일반 연료차 기준) 인하해 줍니다.
물론, 연장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일반 연료차(가솔린,디젤,LPG)는 100만원 한도까지 30% 할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100만원할인
전기 자동차 300만원 할인
수소전기 자동차 400만원 할인 해 줍니다.
개별소비세가 할인되면
교육세와 부가자치세도 함께 줄기때문에
전체적인 할인 금액은 더 커집니다.
개별소비세 면제 차량
8인승 이하의 승용차는 5% 의 개별소비세가 부과되지만,
9인승 이상의 승합차나, 렌터카, 화물차, 장애인, 국가유공자
경차(2023년까지)는 개별소비세가 면제 됩니다.
차량 등록할때 내는 세금 총정리
차량등록시 내는 세금은 2개 입니다.
② 차량 등록시 붙는 세금 | 취득세 | 차량 등록시 딱 한번 납부하는 세금. 차량가격에 불포함 |
공채매입비(준조세) | 세금은 아니지만 차량 등록시 필수적으로 지출해야 하는 비용. 차량가격에 불포함 |
취득세는 자산을 취득할 때 부과하는 세금으로
차량가액(부가세 제외) × 7%
(경차는 차량가액의 4%) 를 부과합니다.
경차는 기존에 50만원까지 취득세 감면이 됐고,
2022년부터 2024년까지 75만원까지 감면 한도가 높아졌습니다.
따라서,
차량가격 기준 1875만원까지는 취득세가 0원입니다.
차량가격이 그 이상이라면 초과부분에 대해서만
취득세를 내면 됩니다.
참고로, 캐스퍼 가격이 조금 높지만 한도가 늘어가
상위트램을 구입해도 취득세는 0원입니다.
공채매입비(또는 공채 할인)
차량을 등록할 때 필수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지자체 발행 채권인데,
공채매입시 차량 가격의 20%인 큰 비용부담 때문에
공채할인으로 더 많이 매도 합니다.
공채는 지방마다 다릅니다.
아래 글에
공채매입비 저렴한 지방자자체를 정리했습니다.
2021.08.29 - [생활정보] - 자동차(중고차) 취등록세 계산기, 공채매입비 저렴한 지자체 안내
차량보유시 내는 세금 자동차세
차량을 보유하면 매년 자동차세를 납부합니다.
자동차세는
차량가격이 아니라, 배기량에 납부합니다.
그랜져 자동차세가 벤츠보다 비싸게 나오는 이유입니다.
자동차세는 각 지자체에 등록되어 있는 차주에게 일년에 두 번 부괴되는 세금인데요,
이 자동차세 안에는 지방교육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동차세와 지방교육세는 모두 지방세입니다.
□ 차량 보유시 붙는 세금구분 내용세율
자동차세 | 차량보유시 매년 납부해야 하는 세금. 배기량을 기준으로 계산함 | 비영업용 : cc당 80~200원 영업용 : cc당 18~24원 |
지방교육세 | 지방교육재정 확충을 목적으로 만들었으며, 등록세, 재산세, 자동차세 등에 붙어있는 세금. | 자동차세의 30% |
자동차세는 1년치 세금을 상반기(6월)과
하반기(12월) 두 차례에 나누어 납부합니다.
매년 초에 자동차세를 한번에 납부하면 최대 10%의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자동차세 연납신청이라고 하는데요,
여건이 된다면 되도록 연납신청을 하는 것이 절세에 도움이 됩니다.
마무리
자동차 구입, 유지시 납부하는 세금은
총 7가지 입니다.
개별소비세 할인은 코로나 때문에 오래
지속되고 있습니다.
일단 올해 말 까지는 할인을 해주니
차량 구매 계획이 있는 분들은 올해 안에 사는걸 추천드립니다.
헌데, 반도체 부품 공급으로 생산에 차질이 있어 인기차종은 1년 이상 대기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친환경차 와 경차에 대한 여러가지 혜택들이 있으니 구매 하실때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