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퇴 후 창업의 위험성
은퇴 후 자영업은 흔한 선택이지만, 높은 폐업률과 부담이 그림자처럼 따라옵니다.
2023년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매년 약 100만 명이 창업하지만 80만~90만 명이 문을 닫아요. 신규 창업 대비 폐업 비율은 79.4%에 달합니다.
특히 소매업과 음식업은 폐업률이 20% 이상이고, 외식업은 3년 내 85%가 망해요. 😓
초기 투자비는 프랜차이즈 기준 평균 1억 6천만 원, 임대료와 인건비도 만만치 않죠.
그런데 자영업자 평균 월 순이익은 141만~149만 원. 근로소득 235만 원보다 낮아요.
고금리, 물가 상승, 내수 부진은 더 큰 압박을 주고, 2023년 코로나 지원금 종료 후 폐업이 급증했어요.
고령자는 체력 한계로 "나 홀로 사장"이 되기 쉬워 노동 강도가 높고, 실패하면 대출 부담과 빈곤층 전락 위험이 큽니다.
"창업 말고는 답이 없다"는 심정은 알지만, 자영업은 한 번 망하면 재기가 힘든 길이에요. ⚠️
💡 더 나은 대안: 현실적 생계 수단으로의 전환
창업의 불확실성을 피해 안정적인 수입을 찾는다면, 아래 대안을 단계별로 살펴보세요.
1. 전문성을 살린 프리랜서/컨설팅 🎓
과거 경력을 활용해 자본 없이 수익을 낼 수 있어요.
- 58세 전직 제조업 생산관리자, 기술 자문 프리랜서
- 30년간 생산 라인 관리, 효율 15% 개선 경험 보유. 치킨집 대신 경력 선택.
- 단계:
- 1. 과거 성과 정리 (1~2일)
- 2. 국민내일배움카드로 스마트팩토리 교육 (3개월, 무료, HRD-Net)
- 3. 프리모아 가입, 프로필 작성 (10분)
- 4. 공정 점검 후 보고서 작성 (1주일, 150만 원)
- 결과: 월 2건, 주 10~15시간, 월 300만 원 💰
- 55세 전직 교사, 온라인 강의 튜터
- 국어 교사 25년, 학원 대신 집에서 시작.
- 단계:
- 1. 탈잉 가입, 강의 계획 작성 (1시간)
- 2. 샘플 강의 10분 촬영 (1일)
- 3. 교육청 재능기부로 경험 쌓기 (1개월)
- 4. 시간당 5만 원, 주 3회 2시간 강의
- 결과: 학생 5명, 주 6시간, 월 120만 원 💰
2. 공공/사회적 기업 일자리 🏢
정부 지원으로 리스크 없이 소득을 얻어요.
- 63세 퇴직 여성, 공공기관 문서 정리
- 사무직 20년, 꾸준한 일자리 원함.
- 단계:
- 1. 복지로에서 지역 프로그램 확인 (10분, 복지로)
- 2. 주민센터 방문, 신청서+건강검진서 제출 (1일, 5만 원)
- 3. 1일 사무 교육 (엑셀 기초)
- 4. 구청 자료 디지털화 (주 15시간)
- 결과: 월 71만 원 + 연금 🌱
- 60세 남성, 사회적 기업 환경 관리
- 건설업 경력, 체력 활용.
- 단계:
- 1. 사회적기업진흥원 업체 검색 (15분, 사회적기업진흥원)
- 2. 전화 문의 후 면접 (1일)
- 3. 2일 안전 교육 (무료)
- 4. 폐지 분류 업무 (주 20시간)
- 결과: 월 140만 원, 법적 보호 🌱
3. 플랫폼 기반 소규모 경제 활동 📱
가게 없이 집에서 유연하게 시작 가능.
- 57세 여성, 중고 거래 판매자
- 주부, 뜨개질 취미 활용.
- 단계:
- 1. 안 쓰는 물건 5개 사진 찍기 (30분)
- 2. 당근마켓 앱 설치, 게시글 작성 (코트 3만 원, 10분)
- 3. 주 2~3건 거래 시작
- 4. 뜨개질 목도리 판매 확장 (건당 2만 원)
- 결과: 월 60만~80만 원, 시간 자유 🌈
- 61세 남성, 배달 대행
- 운전 좋아함, 단기 수입 필요.
- 단계:
- 1. 쿠팡이츠 앱 설치, 신분증 등록 (10분)
- 2. 전동 자전거 대여 (월 10만 원)
- 3. 1일 온라인 안전 교육 (무료)
- 4. 저녁 6~9시 배달 (건당 5천 원, 하루 6건)
- 결과: 주 5일, 월 120만 원 (주 15시간) 🚴
4. 투자 기반 안정 수익 (배당금 생활 중심) 💸
퇴직금 일부로 배당금을 생활비로 활용.
- 62세 남성, 미국 고배당 ETF (SPHD)
- 퇴직금 2억 원, 창업 대신 투자.
- 단계:
- 1. 삼성증권 계좌 개설 (1일)
- 2. SPHD (주당 5만 원) 1억 5천만 원으로 3,000주 매수
- 3. 연 배당율 4.5%, 연 720만 원 확인
- 4. 매달 60만 원 입금받아 사용
- 결과: 월 60만 원 (세전), 연금(월 100만 원)과 합쳐 월 160만 원 🌟
- 59세 여성, SK텔레콤 주식
- 퇴직금 3억 원, 안정적 배당 목표.
- 단계:
- 1. 키움증권 계좌 개설 (1일)
- 2. SK텔레콤 (주당 6만 원) 2억 원으로 3,333주 매수
- 3. 연 배당율 5.5%, 연 1,109만 원 확인
- 4. 분기 배당을 월 단위로 나눠 사용 (월 92만 원)
- 결과: 월 92만 원 (세전), 연금(월 80만 원)과 합쳐 월 172만 원 🌟
- 55세 남성, 미국 REITs ETF (KBWY)
- 퇴직금 4억 원, 부동산 대신 REITs.
- 단계:
- 1. 미래에셋증권 계좌 개설 (1일)
- 2. KBWY (주당 4만 원) 3억 원으로 7,500주 매수
- 3. 연 배당율 7%, 연 2,100만 원 확인
- 4. 매달 175만 원 입금받아 생활비 충당
- 결과: 세후 150만 원, 연금 없이도 충분 🌟
- 67세 부부, 혼합 포트폴리오
- 퇴직금 5억 원, 배당으로 노후 대비.
- 단계:
- 1. NH증권 계좌 개설 (1일)
- 2. 삼성전자 우선주 2억 원 (연 600만 원),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3억 원 (연 1,200만 원) 투자
- 3. 총 연 1,800만 원 확인
- 4. 월 150만 원으로 나눠 사용
- 결과: 세후 130만 원, 연금(월 200만 원)과 합쳐 월 330만 원 🌟
📈 고령자 재취업 트렌드 (2025년 3월 기준)
재취업도 창업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어요.
- 디지털 전환: 62세 은행원, 디지털 동반자 교육 후 ERP 입력 업무, 월 150만 원 💻
- 단시간 근무: 66세 남성, 마트 주차 관리, 주 4일, 월 90만 원 🕒
- 경력 활용: 60세 인사담당자, 50플러스재단 매칭으로 스타트업 자문, 월 200만 원 🌐
- 정부 지원: 65세 여성, 요양보호사 자격 취득 후 월 210만 원 🩺
🚀 실행을 위한 단계별 조언
- 첫걸음: 내일 고용센터(1344)에 전화해 "내 경력에 맞는 일자리" 문의 (10분) 📞
- 단기 계획: 이번 주 탈잉 가입 후 첫 과제 올리기 (1시간) 또는 당근마켓에 물건 등록 (10분) 📲
- 중기 계획: 1개월 내 국비 교육 신청 (HRD-Net) 또는 1천만 원으로 SK텔레콤 주식 매수 후 배당 확인 📅
- 투자 팁: 배당소득세 (국내 15.4%, 미국 15%) 고려, 월 100만 원 목표라면 2억~3억 원 투자 필요 💡
🌈 마무리
창업은 리스크가 크지만, 프리랜서, 공공 일자리, 플랫폼 활동, 배당 투자는 손실을 줄이고 유연성을 줍니다.
연금이 있다면 배당으로 보충하고, 체력이 괜찮다면 배달 대행을 시도해볼 수 있어요.
지금 작은 첫걸음부터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