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자산 대부분을 개별종목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는
'나는' 높은 수익율을 얻을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한두번은 시장 수익률을 뛰어 넘을 수 있겠지만,
10년이상 시장을 이길 확률은 극히 낮다.
개미들의 평균들은 저렇게 죽을쑤고 있어도,
일부는 높은 수익률로 책도쓰고 유튜브 강의도 하는 주식부자들도 있다.
공포에 사고, 시장이 흥분할때 팔수 있는 남다른 마인드와
저평가를 판단할 수 있는 지식이 바탕돼 있다.
그리고 운.
그런데, 그 주식부자가 당신이 될 확률은 얼마인가?
주식부자까지는 아니더라도 시장수익률 보다 높은
수익율을 얻을 확률은 얼마나 될까?
10년이상.
로또 명당엔 매주 로또를 사는 줄이 길고,
로또당첨 만큼 낮은 확률에 도전하는 개미들도 많다.
잃지않는투자 3가지 원칙
높은 수익율이란 은행이자 보다 높은 5% 안팍이다.
투자금이 많이 필요한 상가,아파트 임대 수익율이 4~5% 수준이다.
주식변동성이 커 리스크가 있으니,
주식 목표수익율을 10%로 잡자.
하지만, 우선 잃지 않는 투자가 먼저다.
워런 버핏의 투자원칙은 여러 가지가 알려졌지만,
가장 중요한 첫 번째 원칙과 두 번째 원칙은 다음과 같다. 즉
1. 절대로 돈을 잃지 마라.
2. 첫 번째 원칙을 절대 잊지 마라.
라는 것이다.
개인들이,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한 방법 3가지
1. ETF를 통한 분산투자
2. 주식(ETF)와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군(현금, 채권)에 분산투자한다.
수익율은 크게 떨어지지 않고 리스크는 크게 낮출수 있다.
Harry Markowitz 는 Modern Portfolio Theory로
1955년에 노벨 경제학상 받았다.
시장에서도 검증된 이론이다.
3. 일정 주기로 주식과 채권 등의 비율을 정해놓은 원칙(6:4, 1:1)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한다.
주식투자 몇가지 전략 - 장단점
실전 투자 전략
ETF 매수 후 보유
미국시장 우상향을 믿고 단순하게 시장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장기 보유하지만,
금융위기가 닥쳐 -50%까지 하락하면 이 전략을 유지 하기 어렵다.
은퇴할때 이런 장을 만나면
잠을 자지 못한다.
적립식 투자(전략)
분할 매수 방식은 비교적 저가로 주식을 매입할 수 있기에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매수와 매도에 관한 확실한 기준이 없어서 '매수 후 보유'와 별 차이가 없다.
특히, 투자금액이 늘어날수록 적립식으로 넣는 돈이 전체투자금에 비해 작아
적립식 효과가 떨어진다.
30년동안 적립식으로 투자했는데,
은퇴시점에 금융위기 같은 폭락장이 온다면?
순환적립식 투자
적립식을 단점을 보완하는 전략.
만기를 정한 상태에서 분할적립식으로 투자한다.
월 100만원씩 적립식으로 투자를 한다.
1년을 만기로 정해놓았다면,
모두 매도 한다.
-20% 수익율이면
원금 1200만원이 960만원으로 줄었을텐데
960/12 = 80만원과
월 100을 보태 180만원을 다시 12개월동안 적립식으로 투자한다.
주식과 현금(채권)을 1대1로 혼합
주식과 채권을 동일한 비중으로 구성, 매월 리밸런싱한다.
주식과 채권 변동성 조절
주식과 채권의 평균 등락폭이 상이하고 변동성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변동성을 조절하는 전략이다.
자산배분 단점이 수익율이라고는 했지만,
주식 100%와 비교해서 그렇지
결코 낮은 수익율이 아니다.
추천 전략
1. 월급이 들어오는 현금흐름이 있을때는 적립식도 좋다.
2. 은퇴시점이 다가오면 주식과 채권으로 분산한다.
주식,채권을 60 : 40 비율로 나누는 60/40
금과 현금을 추가해 모두 25%씩 분산하는 영구 포트폴리오가 있다.
60/40은 연평균 수익율은 9%이지만, MDD가 -30%가까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은퇴후에는 MDD를 -20%이하로 낮춰야 편히 잘 수 있다.
주식,국채,금,현금을 각 25%로 나누는 영구 포트폴리오 전략을 추천한다.
최근 50년간 영구포트폴리오 성적은
연복리 수익율 8.8%, MDD -12.7% 였다.
개인적으로 금이 마음에 들지 않는데,
금을 빼고,
주식과 채권에 각각 더 넣으면 된다.
주식(SPY) 50%, 채권(TLT) 30%, 현금(SHY -3년만기 국고채 현금취급) 20%
연복리 수익율 9.53%, MDD -13.48%
2009년부터 백테스트
1번 60:60
2번 SPY
3번 5:3:2
정확한 비율은 중요하지 않다.
의미 있는 자산배분이 중요하다.
비율은 각자 투자성향에 따라 조절 하면 된다.
마무리
투자는 지식순이 아니다.
천재라고 해도 자신의 감정에 대한 제어력을 상실하면
경제적 참사를 불러올 수 도 있다.
그반대로 아무런 금융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도
몇가지 행동 요령만 익히면 부자가 될 수 있다.
금융성공은 대단한 과학이 아니다.
금융은 소프트스킬이고, 소프트스킬에서는 아는 것보다 행동이 더 중요하다.
- 모건하우젤, 부자의 심리학-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분명히 다릅니다. 제 책의 모든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는 분들은 아주 많아도 이를 10~20년 동안 끝까지 유지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 주식투자 ETF 시작하라 -